본문 바로가기
건강

재발이 쉬운 추간판 탈출증? 수술이 답일까

by emily0219 2023. 2. 22.

추간판탈출증
추간판탈출증의 비수술적 치료방법과 수술적 치료방법

디스크라는 이름으로 우리에게 더 익숙한 ‘추간판탈출증’은 척추뼈 사이에 있는 추간판이 여러 원인에 의해 손상을 받거나 퇴행성 변화를 겪으면서 발생하는 척추 질환입니다. 추간판탈출증 치료 시 가장 먼저 수술을 떠올리기 쉽지만, 실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사실 추간판탈출증 환자의 70% 정도는 수술하지 않고도 호전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추간판 안쪽의 젤리 같은 수핵이 탈출하거나 후관절 주위 골극과 섬유륜이 커져서 주변을 지나는 신경을 압박하며 통증과 근력 저하 등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일으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했듯이 추간판탈출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허리통증과 다리 저림입니다. 흔히들 사용하는 '디스크가 터졌네'라는 표현은 의학적인 표현은 아니지만, 탈출한 디스크가 위 또는 아래로 전위되거나 크기가 큰 경우에 사용됩니다.

 

 

추간판절제술은 증상이 있는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서 추간판을 절제하는 수술 방법입니다. 척추후궁을 절제한 후 탈출한 추간판을 제거하여 신경을 압박하는 병소를 제거하면 증상이 개선되고,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신경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추간판탈출증 바로 알아보기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는 보존적인 방법(비수술적인 방법)과 수술적인 방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을 선택할 때는 증상이 지속된 기간, 재발의 횟수, 환자의 직업, 나이, 성별, 작업량, 통증 정도 등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해야 한다. 이렇게 복합적인 요소를 고려해서 입원 치료 또는 외래 치료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추간판 탈출증은 한번 나았다고 해도 살면서 재발할 우려가 높은 질환이기 때문에 치료뿐만이 아니라 향후 일상생활이나 관리 등도 어떻게 해야 할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디스크 질환의 근본적 치료는 생활 습관 교정과 척추 주위 근육과 인대 강화, 척추 안정성 개선을 통한 재발 방지입니다. 

비수술적 치료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는 안정과 휴식,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으로 대표되는 비수술적 치료가 주로 시행됩니다. 환자의 70% 이상이 보통 2개월 이내에 증상이 호전되며, 치료 기간이 길어지거나 통증이 심한 경우 주사 치료, 시술 등 보다 적극적인 치료를 해야 합니다. 수술을 필요로 하는 환자는 적극적인 보존적 치료로 호전되지 않거나 근력 저하가 발생한 경우로 전체의 3~5% 정도에 불과합니다. 많은 환자에서 추간판탈출증의 증상이 있다고 하여도, 대개의 경우 수주에서 수개월이 지나면서 증상이 호전됩니다. 증상이 있는 경우 시행하는 보존적 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진통제, 소염제의 투여를 고려하며, 증세의 호전이 없는 경우 비마약성 도는 마약성 진통제의 투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통증이 있는 처음 2일 정도의 단기간 안정이 권유되며, 그 이후 가벼운 걷기 운동을 시작합니다. 물리치료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증상을 다룰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적당한 운동을 다시 시작하도록 하며, 유연성과 근력을 극대화하고, 요추부의 긴장을 감해주는 올바른 자세와 체위를 가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하지만, 수술을 무조건 피하는 것 역시 답은 아닙니다. 허리 수술은 부정적인 인식이 많아 꼭 필요한 경우에도 수술적 치료를 피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수술이 크고 부작용이 많다는 오해 때문입니다. 최근에는 의학 기술의 발전으로 척추 내시경 수술 등 다양한 기법이 개발되고 발전하면서 좋은 결과가 보고 되고 있습니다. 추간판탈출증은 대부분 수술이 아닌 약물, 물리치료, 휴식 등 보존적요법을 시행합니다. 앞서 설명했듯 환자의 70% 이상이 2개월 이내 수술 없이 증상이 호전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보존적요법으로 치료되지 않거나 근력이 감소한 경우는 수술이 필요합니다. 통상적으로 수술의 적응증은 마미총증후군의 발생, 악화되는 근력저하, 심해지는 통증 및 4~6주간의 보존적 요법에도 증세의 차이가 없는 경우에 시행됩니다. 보통 추간판탈출증 수술은 부작용을 염려해 꺼리는 환자들도 많지만 최근에는 의학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수술기법이 개발돼 치료성적을 높이고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

추간판탈출증은 대부분 수술이 아닌 약물, 물리치료, 휴식 등 보존적요법을 시행합니다. 앞서 설명했듯 환자의 70% 이상이 2개월 이내 수술 없이 증상이 호전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보존적요법으로 치료되지 않거나 근력이 감소한 경우는 수술이 필요합니다. 통상적으로 수술의 적응증은 마미총증후군의 발생, 악화되는 근력저하, 심해지는 통증 및 4~6주간의 보존적 요법에도 증세의 차이가 없는 경우에 시행됩니다. 보통 추간판탈출증 수술은 부작용을 염려해 꺼리는 환자들도 많지만 최근에는 의학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수술기법이 개발돼 치료성적을 높이고 있습니다. 

 

 

 

 

경피적 추간판 치료법에는 화학적 수핵 용해술, 자동화 경피적 수핵 제거술, 레이저 추간판 감압술, IDET(intradiscal electrothermal treatment or coagulation), 경피적 추간판 성형술, 내시경적 추간판 제거술이 있습니다. 개방적 추간판 치료법은 크게 고식적과 미세침습적으로 나눌 수 있는데, 고식적 치료법은 통상적으로 후궁의 일부만을 제거하나, 상부 또는 하부로 전위된 병변이나 반대 측의 병변에 접근 또는 제거하기 위해 절제의 범위를 크게 할 수 있습니다.

 

종류에는 부분적 반측후궁절제술, 반측 후궁절제술, 아전 후궁절제술, 전 후궁절제술이 있습니다. 여기에서 부분 절제술은 최소 침습 혹은 현미경적 절제술에 해당하며 PELD(경피적 내시경 요추 디스크 절제술)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부분 절제술과 달리 전 절제술은 요추부 수핵의 내용물이 완전히 다 빠져나와서 사실상 추간판이 거의 제 기능을 할 수 없다고 판단되었을 때 시도하는 방법으로 문제가 생긴 디스크를 완전히 파괴하고 꺼낸 후의 빈 공간 처리 방법에 따라 융합술(고정술)과 인공 디스크 삽입술로 나뉩니다. 미세침습적 치료법은 내시경 또는 수술 현미경 하에서 tublular retractor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하며, 이 방법 역시 반대 측의 추간공까지 접근이 가능합니다.

 


수술 후 추간판탈출증의 재발(수술 후 6개월간 무증상 기간 후 재발을 의미)은 8~14% 정도이고, 수술 부위의 동 측에 가장 많으며 유착도 일부 원인이 됩니다. 또한, 염증 예방을 위해 척추 수술 시 1회의 예방적 항생제의 사용이 권장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