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신

임산부 출산가정 전기세 30% 할인(feat. 약 60만원 아끼는 법)

by emily0219 2023. 9. 13.
출산가정 전기요금 할인 혜택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출산 가정에서 전기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정부가 이를 고려하여 전기요금을 줄여주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여름철에는 아이들의 안녕과 편안함을 위해 에어컨을 많이 사용해야 하는데, 이로 인해 전기 누진제와 결합되어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정부에서 제공하는 출산 가정을 위한 전기요금 지원 혜택을 신청하면, 약 3년 동안 총 576,000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이 혜택을 활용하려면 어떤 조건을 충족해야 하고,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출산가구 요금 할인 제도

    출산가구 요금 할인 제도

    2016년 12월 1일 이후에 출생하거나 입양 등으로 주민등록표상의 출생일로부터 3년 미만인 영아가 적어도 1명 이상 포함된 가구를 대상으로 한 전기요금 할인 제도입니다.

     

     

    제도의 조건 및 한도

    2016년 11월 30일 이전에 태어난 영아는 할인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만약 영아가 주민등록상 주소지와 별도의 장소에서 거주한다면(예: 조부모 집), 영아의 현재 거주지가 기준으로 할인이 적용됩니다. 또한, 이 혜택은 출생일로부터 3년 미만인 영아에게만 적용되며, 대가족요금이나 3자녀할인과 중복으로 적용할 수 없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듯, 할인은 출생일로부터 3년 동안 적용되며, 전기요금의 30%까지 할인됩니다. 월 최대 할인 한도는 1만6천원으로 정해져 있는데, 이 말은 월별 전기요금이 약 5만4천원을 넘지 않으면 최대로 할인을 받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출생일이 동일한 영아가 2인 이상이라도 1인 기준으로 할인이 적용됩니다.

     

    신청방법

    출생신고 이후에 할인 혜택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으로는 한전 사무소에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로 신청하려면 고객센터 국번없이 123, 인터넷을 통해 한전 홈페이지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다만, 신청을 완료했더라도 아파트에 거주한다면 관리실에 알려줘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파트 고객의 경우, 관리사무소를 통해 대리로 신청할 수도 있으며, 할인 혜택은 세대 전기요금에서 적용되며 공동 전기요금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사를 가게 될 경우(전입 또는 전출), 할인 혜택은 자동으로 해지되므로 새로운 거주지에서 다시 신청해야 합니다. 신청을 미루거나 잊어버릴 경우, 소급적용이 불가하니 주의해야 합니다.

     

    전화신청 123

    한국전력공사에 (국번없이 123) 전화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만약 실거주지가 다른 경우, 예를 들어 친정이나 시댁에서 산후조리를 하는 경우에는 전화를 통해 신청하는 것이 가장 편리합니다. 다만, 전화로 신청할 때는 거주지 주소, 세대주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그리고 연락처와 같은 개인정보가 필요하므로 미리 이 정보들을 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넷 신청

    출산가구 요금 할인제도 인터넷 신청
    개편 전(한전 사이버지점)

    한전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할인 혜택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위의 사진은 한전 사이버지점에서의 요금 신청 방법 캡쳐본이며 현재는 "사이버지점 -> 한전 ON"으로 명칭이 바뀌었습니다. (같은 한국전력공사 사이트입니다)

     

    한전 on 개편 사이트
    개편된 한전 사이트(한전 ON)

     

     

    한전:ON(한전온)

    전기요금 조회·납부, 명의변경, 고객상담 등 전기사용 관련 고객서비스를 제공하는 한전의 대표 플랫폼

    online.kepco.co.kr

     

    마치며..

    정부에서는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출산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사를 하거나 실거주지가 변경되더라도 신청이 가능하므로, 한전에서 제공하는 출산가구 할인 혜택을 놓치지 않고 모두 활용하여 가계 경제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아래에는 2024년 최신 저출산 정책에 대한 정보이니 참고해주세요.

     

    반응형

    댓글